AI & Data를 활용하는 기술경영자

고령화 사회에서 시니어 인력의 파트타임 활용 방안과 기업의 대응 전략 본문

Future

고령화 사회에서 시니어 인력의 파트타임 활용 방안과 기업의 대응 전략

Data_Lover 2025. 2. 3. 14:35
728x90

서론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동 시장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유엔(UN)의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 세계 60세 이상 인구는 현재보다 두 배 증가하여 약 21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선진국에서는 고령화 속도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 일본, 독일 등은 이미 초고령 사회(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에 진입했거나 진입을 앞두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시니어 인력의 경제적 활동 지속 여부는 노동 시장과 경제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고령 인구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을수록 경제 성장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65세 이상 노동시장 참여율이 25%를 넘어섰으며, 이는 일본의 경제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시니어 인력이 노동 시장에서 배제될 경우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연금 부담 증가, 노동력 부족 등의 문제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기업들은 기존의 정규직 중심의 고용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유연한 고용 모델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니어 인력의 특성을 고려한 파트타임 채용은 지속적인 경제 활동을 가능하게 하며, 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글에서는 시니어 인력의 파트타임 활용 방안과 기업이 이에 대응할 전략을 분석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1. 시니어 인력의 파트타임 채용 필요성

 

(1) 고령화에 따른 경제 활동 필요성

 

세계적으로 평균 기대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퇴직 후에도 경제 활동을 지속하려는 시니어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까지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노동력의 3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한국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은 36.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생계 유지뿐만 아니라, 사회적 소속감과 자기 실현 욕구의 충족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2)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

 

고령화는 노동력 부족 문제를 심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일본의 경우, 2021년 기준으로 15~64세 노동 가능 인구가 1995년 대비 약 13% 감소했으며, 이는 생산성 저하와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본 정부는 퇴직자 재고용 제도를 도입하고, 파트타임 근무를 포함한 유연한 고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3) 시니어 인력의 경제적 가치

 

시니어 인력은 오랜 경력을 통해 축적한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미국 AARP(American Association of Retired Persons)의 조사에 따르면, 기업 내 시니어 근로자가 증가할수록 조직 내 협업과 멘토링이 활성화되고, 업무 성과 또한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2. 시니어 인력 파트타임 고용의 장점

 

(1) 기업 비용 절감

 

파트타임 고용은 정규직 채용보다 인건비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기업은 업무량에 맞춰 유연하게 인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정규직 대비 복리후생 비용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75%가 시니어 인력의 파트타임 고용을 통해 인건비 절감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연한 근무 환경 제공

 

시니어 근로자는 건강 상태, 개인 일정 등을 고려한 유연한 근무 환경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의 ‘재고용 제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퇴직 후에도 파트타임 형태로 근무를 지속하는 것이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세대 간 지식 공유 및 협업 강화

 

파트타임 형태의 시니어 근로자는 멘토링을 통해 젊은 직원들에게 노하우를 전달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젊은 직원들은 디지털 기술 등을 교육할 수 있는 ‘리버스 멘토링’도 가능하다.

 

3. 기업의 시니어 인력 활용 전략

 

(1) 맞춤형 업무 배치 및 교육 제공

 

기업은 시니어 인력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직무 배치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독일의 ‘베를린 시니어 직업훈련 센터’는 퇴직 후에도 지속적으로 직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 내 고령 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2) 정부 지원 프로그램 활용

 

여러 국가에서 고령 인력 채용을 촉진하기 위해 세금 감면 및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의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제도는 기업이 50세 이상 근로자를 채용하면 일정 기간 동안 정부에서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3) 세대 간 협업 환경 조성

 

기업 내 세대 간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멘토링 및 리버스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미국 IBM의 경우, 퇴직을 앞둔 시니어 근로자가 주니어 직원에게 전문 지식을 전수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조직 내 지식 유출을 최소화하고 있다.

 

결론

고령화 사회에서 시니어 인력의 경제적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기업은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파트타임 근무는 유연한 노동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기업의 인력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기업은 맞춤형 업무 배치, 세대 간 협업,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니어 인력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노동 시장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니어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율 증가가 국가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사회적 차원에서도 시니어 인력 활용 전략은 필수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참고 자료]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의 추세적 변화와 향후 노동공급에 대한 영향은? | 블로그(상세) | 뉴스/자

썸네일2.jpg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의 추세적 변화와 향후 노동공급에 대한 영향은? 등록일 2023.05.30 조회수 13104 키워드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 담당부서 미시제도연구실, 거시경제연구실 저자

www.bok.or.kr

 

 

 

En Suède, l’essor des sociétés d’intérim pour seniors

« Un monde de vieux ». Pour arrondir leurs fins de mois ou rester actifs, de nombreux retraités suédois reprennent du service et travaillent quelques heures par semaine en tant qu’intérimaires auprès de particuliers ou d’entreprises.

www.lemonde.fr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II)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기타 보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급속한 인구구조 고령화에 직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7% 이상일 경우 고령화(aging)사회, 14% 이상일 경우 고

www.kdi.re.kr

 

[호텔앤레스토랑] [Feature] 플랫폼 위의 노동자 ‘긱워커’ - 호텔업계 노동시장에 활력소 될까?

‘긱워커(Gig-worker, 초단기 근로자)’의 시대가 열렸다. 세금 신고 환급 서비스 ‘삼쩜삼’을 운영하는 자비스앤빌런즈는 국내 긱워커 규모가 약 1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파악했다. 한국경제 기

www.hotelrestaurant.co.kr

 

 

[김수형의 시니어비즈니스 이야기14] 젠플로이먼트(Zenployment)와 은퇴자를 위한 직업 - 아웃소싱타

젠플로이먼트(Zenployment)는 선(禪)을 뜻하는 ‘zen’과 고용을 뜻하는 ‘employment’의 합성어이다. 서양에서는 선(禪)의 뜻을 명상(meditation)으로 번역하고, 일본식 ...

www.outsourcing.co.kr

 

 

 

청년고용과 중고령층 고용의 대체관계.pdf
1.31MB
기업의 CSVCreating Shared Value와 50+세대 일자리 창출에 관한 연구.pdf
1.97MB
한국 사회의 고령자 고용활성화 방안 연구_ 시니어클럽의 기능보안을 중심으로.pdf
0.31MB

 

728x90